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주요 경쟁 포인트는 카메라 성능도, 디자인도 아닌 바로 AI 기능입니다. 삼성과 애플은 각각 갤럭시 AI와 iOS 기반 머신러닝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자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생성형 AI까지 탑재되며 본격적인 AI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브랜드의 주요 AI 기능들을 항목별로 비교해봅니다.
1. 음성 기반 AI: 빅스비 vs 시리
삼성은 빅스비(Bixby), 애플은 시리(Siri)를 AI 음성 비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빅스비는 음성 명령의 자동화(루틴), 디바이스 제어, 스마트싱스 연동 등에 강점을 보이며, 시리는 애플 생태계 내 빠른 반응성과 자연어 이해도에서 우수합니다. 다만 둘 다 아직 생성형 AI 수준의 대화형 기능은 제한적이며, 빠른 명령 실행 중심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2. 생성형 AI 지원
삼성은 갤럭시 S24부터 갤럭시 AI를 통해 실시간 통화 번역, 노트 요약, 이미지 자동 보정 등 실제 사용에 밀접한 생성형 AI 기능을 본격 탑재했습니다. 반면 애플은 현재까지 iOS에 직접적인 생성형 AI 기능은 탑재되지 않았고, 2024 WWDC를 통해 ChatGPT 또는 자체 생성형 AI 모델 도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즉, 삼성은 먼저 시장을 선점했고, 애플은 조심스럽게 기술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키보드 및 텍스트 편집
삼성 키보드는 문장 스타일 변환(정중하게, 요약해서, 간결하게)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는 사용자 입력을 AI가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어투로 바꿔주는 기능으로,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된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애플 키보드는 현재 문장 추천, 자동 완성, 오타 수정 수준의 머신러닝 기반 편의 기능을 제공하며, 아직 문체 변환 수준까지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4. 사진 및 영상 AI
애플은 사진 편집과 영상 보정에서 ML 기반의 자동 최적화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딥퓨전, 스마트 HDR, 시네마틱 모드 등은 모두 AI 기반 보정 기술을 활용합니다. 삼성 역시 갤럭시 AI 편집 기능을 통해 이미지 배경 생성, 오브젝트 삭제, 자동 보정 등을 지원하며, 생성형 기술을 더 깊게 활용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양사 모두 카메라의 후처리 영역에 AI를 집중 적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편집 능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5. 실생활 적용성
AI가 실생활에서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의 관점에서 보면, 삼성은 실시간 통화 번역, 웹 요약, 노트 변환 등 실시간 사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면 애플은 디바이스 간 연동, 자동화 루틴, 건강 앱 데이터 분석 등 백그라운드 중심 AI 활용이 주를 이룹니다. 즉, 삼성은 직접 체감되는 AI 경험, 애플은 보이지 않는 편의성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종합 비교 요약
- 🎙️ 음성 비서: 빅스비(제어 특화) vs 시리(빠른 응답)
- 🧠 생성형 AI: 삼성은 이미 탑재, 애플은 준비 중
- ⌨️ 문장 AI: 삼성은 변환, 애플은 추천 중심
- 📷 사진 편집: 애플은 ML 최적화, 삼성은 생성형 편집
- 📱 AI 활용 방식: 삼성은 즉시 체감형, 애플은 자연스러운 통합형
결론적으로, 삼성은 ‘체감형 생성형 AI’에, 애플은 ‘UX 통합형 AI’에 더 가까운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애플이 WWDC에서 어떤 AI 전략을 펼칠지에 따라 경쟁 구도가 한층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테크뉴스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4Hz vs 240Hz vs 360Hz 게이밍 모니터 진짜 차이 (0) | 2025.05.17 |
---|---|
공기청정기에도 AI? 스마트 가전의 진화가 무섭다 (1) | 2025.04.19 |
갤럭시 AI 기능 모아보기: 삼성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든 AI 정리 (2) | 2025.04.18 |
'AI 검색엔진' 대세화! 네이버 vs 구글 vs 빙, 누가 이길까? (0) | 2025.04.18 |
AI 반도체 기술의 모든 것! 왜 지금 주목받는가? (0) | 2025.04.18 |